하.경.삶

인간의 미세 플라스틱 및 나노 플라스틱 노출 및 세포 영향 본문

疏通 1 (with Me)

인간의 미세 플라스틱 및 나노 플라스틱 노출 및 세포 영향

에제르 2025. 9. 13. 16:48

 

 

 인체 노출 (Human exposure)

각 장기에 축적되는 미세플라스틱·나노플라스틱 양과 입자 크기 범위
  • 뇌 (Brain)
    • 4,917 μg/ml
    • 입자 크기: 100–200 nm
  • 혈액 (Blood)
    • 1.1 μg/ml ~ 80 μg/ml
    • 2 MPs/g ~ 114 MPs/g
    • 입자 크기: 0.3–3,000 μm
  • 폐 (Lung)
    • 0.56 MPs/g ~ 1.19 MPs/g
    • 입자 크기: 1–2,475 μm
  • 간 (Liver)
    • 433 μg/ml / 3.2 MPs/g
    • 입자 크기: 0.4–30 μm
  • 신장 (Kidney)
    • 404 μg/ml / 26 MPs
    • 입자 크기: 0.4–29 μm
  • 대장 (Colon)
    • 28.1 MPs/g
    • 입자 크기: 800–1,600 μm
  • 태반 (Placenta)
    • 126.8 μg/ml / 0.52 MPs/g ~ 18 MPs/g
    • 입자 크기: 5–300 μm
  • 고환 (Testis)
    • 328.4 μg/ml / 11.60 MPs
    • 입자 크기: 22–287 μm




      인체 장기별 노출 농도, 입자 크기

세포 효과 (Cellular effects)

각 장기·세포에서 나타나는 생물학적 영향
  • 뇌세포 (Brain cells)
    • 산화 스트레스(↑ OS)
    • 혈액-뇌 장벽(BBB) 붕괴
    • 신경 전구세포 발달에 중요한 유전자 발현 변화
  • 혈관 (Blood vessels)
    • ↑ 산화 스트레스(OS), 사이토카인(cytokines), 글루타치온(GT)
    • ↓ 세포 생존력(CV)
  • 폐세포 (Lung cells)
    • ↑ 산화 스트레스(OS), DNA 손상, 세포 사멸, 대식세포 변화(MC), 폐포 장벽(LB) 붕괴
    • ↓ 세포 생존력(CV), 산소소비율(OCR)
  • 간세포 (Liver cells)
    • ↑ 산화 스트레스(OS), 세포 사멸, 사이토카인, AST·ALT 증가
    • ↓ 세포 생존력(CV), 항산화 분자, 세포 증식
  • 신장세포 (Kidney cells)
    • ↑ 산화 스트레스(OS), 세포 사멸, LDH 유출, 사이토카인
    • ↓ 세포 생존력(CV), 증식, 콩팥 장벽(KB) 붕괴
  • 장세포 (Intestinal cells)
    • ↑ 산화 스트레스(OS), 사이토카인, 장 장벽(IB) 붕괴, DNA 손상
    • ↓ 세포 생존력(CV), 미토콘드리아 탈분극
  • 태반세포 (Placental cells)
    • ↑ 세포 사멸, LDH 유출, 대사 활성 변화, DNA 손상
    • ↓ 세포 증식, 영양막 세포 이동·침투
  • 난소세포 (Ovarian cells)
    • ↑ 산화 스트레스(OS), 세포 사멸, 세포 주기 정지
    • ↓ 세포 증식, MMP, 항산화 표지자

      각 세포에서 발생하는 산화 스트레스, DNA 손상, 세포사멸, 장벽 붕괴 등

 

 

  • 주요 노출 경로: 미세 플라스틱 및 나노 플라스틱(MNPs)는 우리가 숨 쉬는 공기와 섭취하는 음식 및 물을 통해 몸속으로 들어올 수 있습니다. 특히 크기가 매우 작은 나노 플라스틱은 혈액과 뇌 장벽까지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생물학적 영향: 체내에 들어온 플라스틱 입자는 산화 스트레스, 염증 반응, DNA 손상 등을 일으켜 세포 수준에서 건강 문제를 유발합니다. 이러한 손상은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영향을 받는 신체 시스템:
    • 소화기계: 장내 미생물 불균형, 간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호흡기계: 천식이나 기관지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심혈관계: 심장 질환 및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기타 시스템: 신경 독성, 생식기능 저하, 대사 이상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疏通 1 (with 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秋夕  (0) 2025.10.06
Day-re  (0) 2025.09.22
잠시 머무는  (0) 2025.09.13
天高無雲  (0) 2025.09.11
夏猶在  (0) 2025.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