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경.삶
성경 해석학 본문
|
오늘날 신앙의 영역과 성경의 원리들의 적용에 있어서 빚어지고 있는 혼란의 많은 부분은 하나님의 말씀을 왜곡되게 해석하고 잘못 해석한 데서 비롯된다. 성경의 무오성을 흔들림 없이 믿고 고수해 온 진영들도 결코 예외가 아니다.
우리는 성경을 연구할 때에 건전한 해석 원리들을 채택해서 사용한다면 반드시 놀라운 열매를 맺게 되리라는 것을 확신하고, 그것이 "진리의 성령"이 그의 백성을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실 때에 사용하기를 기뻐하시는 여러 수단들 중의 하나라고 믿는다.
우리는 이점을 염두에 두고서, 개인이 성경을 연구할 때에 지침서로 활용하거나, 특히 신학교와 성경학교에서 교과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책을 준비하였다.
일찍부터 올바른 방법과 절차를 활용해서 성경을 해석하는 것에 잘 훈련된 경건한 사역자는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해 나가는 데에 유용한 섬김의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될 것이다. (발행인 서문)
"성경 해석학 분야의 입문서로서 벌코프의 '성경 해석학'을 따라올 책은 없다. 이 책의 저자인 루이스 벌코프(Louis Berkhof)는 1950년에 이 교과서를 출간함으로써 금세기 최고의 복음주의 신학자들 중의 한 사람으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벌코프는 독자들에게 성경에 대한 문법적, 역사적, 신학적 해석을 소개한다. 그는 성경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성경의 저자들과 독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들이나 거리를 제거할 수 있는' 방법들을 보여준다. 그것은 독자들이 '스스로 성경 저자들이 살았던 시대와 그 시대의 정신 속으로 들어갈' 때에만 가능하다. '성경을 연구할 때에는 이차적인 저자들인 성경의 기자(記者)들이 의도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우리는 일차적인 저자인 성령의 마음을 아는 법을 배워야 한다.".....
제1장 서론
제2장 유대인들에 있어서 성경 해석 원리의 역사
A.성경 해석학의 역사의 정의
B.유대인들의 성경 해석 원리
제3장 기독교회에 있어서 성경 해석 원리의 역사
A.교부 시대
B.중세 시대
C.종교개혁 시대
D.신조주의 시대
E.역사비평 시대
제4장 해석학의 대상인 성경에 대한 합당한 개념
A.하나님의 감동으로 된 성경
B.성경의 통일성과 다양성
C.성경의 의미의 단일성
D.성경의 문체:일반적인 특징들
E.해석자의 석의적 관점-해석자와 그의 연구대상 간의 관계
제5장 문법적 해석
A.개별 단어들의 의미
B.문맥 속에서 단어가 지니는 의미
C.단어 해석을 위한 내부의 도구글
D.단어의 비유적 용법
E.사상에 대한 해석
F.사상의 해석을 위한 내부의 도구들
G.문법적 해석을 위한 외부의 도구들
제6장 역사적 해석
A.정의와 설명
B.저자 또는 화자의 개인적 특징들
C.저자의 사회적 상황
D.성경의 각 책들에 특유한 상황들
E.역사적 해석을 위한 도구들
제7장 신학적 해석
A.신학적 해석이라는 명칭
B.통일체로서의 성경
C.성경의 신비적 의미
D.상징적,모형적 성경 해석
E.예언의 해석
F.시편의 해석
G.성경의 함축적 의미
H.신학적 해석을 위한 도구들
'疎通 2 (with YHWH) > Grasping His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정한 의미의 "영적 전쟁"이란 (0) | 2010.11.25 |
---|---|
해석학적 우상숭배 (0) | 2010.11.22 |
그리스도 안에서, 주 안에서 (0) | 2010.10.27 |
베드로전서를 통해 본 신자의 고난과 시험 (0) | 2010.10.05 |
베드로전서를 통해 본 신자의 특권 (0) | 2010.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