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경.삶
구약 - 율법 본문
서론
-.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율법의 해석 문제로 곤혹스러워한다.
-. 어떤 사람들은 우리에게 적용되지 않는 듯 보이는 율법 모두를 그냥 지나쳐 버림으로써, 율법 본문들을 단순히 훓고 지나가는
접근 방식을 취한다.
-. 그런데 오늘날에도 이해할 수 있는 율법을 만나면 , 우리는 그것을 붙잡고 거기에 밑줄을 긋고 우리 삶의 지침으로 사용한다.
-. 분명히 구약 율법을 해석할 때 이러한 무책임하고 임의적인 방식은 적절치 못하다.
전통적인 해석방식
-. 도덕법, 시민법 그리고 예식법 사이의 구분을 강조하는 것
-. 도덕법 : 인간의행실에 대한 하나님의 의도와 관련한 무시간적인 진리들을 다루는 법
-. 시민법 : 한 나라의 법적 체계 속에서 당신이 통상적으로 볼 수 있는 면들을 기술하는 법(예. 신 15:1)
-. 예식법 : 희생 제사와 절기들이나 축제들 그리고 제사장에 관한 행위들을 다루는 법(예. 신 16:13)
-. 도덕법은 보편적이고도 무시간적이다, 그러므로 이 법은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여전히 율법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
-. 그러나 시민법과 예식법은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이 아니라 오직 고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만 적용된다고 간주
-. 어떤 법이 도덕적 범주에 들어가는지 혹은 어떤 법이 다른 두 범주에 들어가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내러티브 문맥
-. 구약율법은 이스라엘의 신학적 역사의 이야기에 단단히 뿌리를 내리고 깊이 스며들어 있다.
-. 구약율법은 창세기 12장부터 열왕기하 25장까지 면면히 흘러가는 내러티브의 일부다.
-. 구약율법은 이스라엘의 출애굽, 광야 여정 그리고 가나안 정복의 이야기 속에 단단히 뿌리를 내리고 있다.
-. 구약율법에 대한 해석방식은 이 점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 문맥의 중요성을 기억하라.
-. 율법은 이야기의 일부이며, 이 이야기는 율법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문맥을 제공한다.
-. 구약율법에 대한 해석방식은 구약 내러티브에 대한 해석방식과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
언약 문맥
-. 모세 언약은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복 및 정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모세 언약이 담고 있는 복들은 조건적이다.
-. 모세 언약은 더 이상 기능적인 언약이 아니다. (신약 성도는 더 이상 옛 모세언약 아래에 있지 않다.)
-. 모세 언약의 일부로서의 구약 율법은 더 이상 우리에게 율법으로 적용될 수 없다.
-. 우리는 신약 가르침의 통제에 따라 율법을 해석해야 한다.
해석 여행
-. 구약율법에 대한 해석방법은 구약 내러티브에 대한 해석방법과 동일해야 한다.
-. 구약율법의 연구에서 관찰 단게를 지나면, 본문이 성경의 원래 독자들에게 의미한 바를 결정한다.
-. 그 다음에 성경 원래 독자들과 우리 사이의 차이점을 규명한다.
-. 그 후에 원리화의 다리를 건너면서 신학적 원리들을 이끌어 낸다.
-. 신학적 원리들을 이끌어 낸 다음, 오늘날의 신약 독자들을 위한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신약으로 건너가면서, 이 원리들을 신약
의 가르침을 통해 여과한다.
-. 마지막으로 오늘날의 특정한 개인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이 의미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들을 결정한다.
결론
-. 이제 당신은 스스로 구약율법을 해석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는가?
-. 오늘날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율법의 해석 문제로 곤혹스러워한다.
-. 어떤 사람들은 우리에게 적용되지 않는 듯 보이는 율법 모두를 그냥 지나쳐 버림으로써, 율법 본문들을 단순히 훓고 지나가는
접근 방식을 취한다.
-. 그런데 오늘날에도 이해할 수 있는 율법을 만나면 , 우리는 그것을 붙잡고 거기에 밑줄을 긋고 우리 삶의 지침으로 사용한다.
-. 분명히 구약 율법을 해석할 때 이러한 무책임하고 임의적인 방식은 적절치 못하다.
전통적인 해석방식
-. 도덕법, 시민법 그리고 예식법 사이의 구분을 강조하는 것
-. 도덕법 : 인간의행실에 대한 하나님의 의도와 관련한 무시간적인 진리들을 다루는 법
-. 시민법 : 한 나라의 법적 체계 속에서 당신이 통상적으로 볼 수 있는 면들을 기술하는 법(예. 신 15:1)
-. 예식법 : 희생 제사와 절기들이나 축제들 그리고 제사장에 관한 행위들을 다루는 법(예. 신 16:13)
-. 도덕법은 보편적이고도 무시간적이다, 그러므로 이 법은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여전히 율법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
-. 그러나 시민법과 예식법은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이 아니라 오직 고대 이스라엘 백성들에게만 적용된다고 간주
-. 어떤 법이 도덕적 범주에 들어가는지 혹은 어떤 법이 다른 두 범주에 들어가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 쉽지 않다.
내러티브 문맥
-. 구약율법은 이스라엘의 신학적 역사의 이야기에 단단히 뿌리를 내리고 깊이 스며들어 있다.
-. 구약율법은 창세기 12장부터 열왕기하 25장까지 면면히 흘러가는 내러티브의 일부다.
-. 구약율법은 이스라엘의 출애굽, 광야 여정 그리고 가나안 정복의 이야기 속에 단단히 뿌리를 내리고 있다.
-. 구약율법에 대한 해석방식은 이 점을 반드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 문맥의 중요성을 기억하라.
-. 율법은 이야기의 일부이며, 이 이야기는 율법을 해석하는데 중요한 문맥을 제공한다.
-. 구약율법에 대한 해석방식은 구약 내러티브에 대한 해석방식과 반드시 동일해야 한다.
언약 문맥
-. 모세 언약은 이스라엘의 가나안 정복 및 정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모세 언약이 담고 있는 복들은 조건적이다.
-. 모세 언약은 더 이상 기능적인 언약이 아니다. (신약 성도는 더 이상 옛 모세언약 아래에 있지 않다.)
-. 모세 언약의 일부로서의 구약 율법은 더 이상 우리에게 율법으로 적용될 수 없다.
-. 우리는 신약 가르침의 통제에 따라 율법을 해석해야 한다.
해석 여행
-. 구약율법에 대한 해석방법은 구약 내러티브에 대한 해석방법과 동일해야 한다.
-. 구약율법의 연구에서 관찰 단게를 지나면, 본문이 성경의 원래 독자들에게 의미한 바를 결정한다.
-. 그 다음에 성경 원래 독자들과 우리 사이의 차이점을 규명한다.
-. 그 후에 원리화의 다리를 건너면서 신학적 원리들을 이끌어 낸다.
-. 신학적 원리들을 이끌어 낸 다음, 오늘날의 신약 독자들을 위한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신약으로 건너가면서, 이 원리들을 신약
의 가르침을 통해 여과한다.
-. 마지막으로 오늘날의 특정한 개인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이 의미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들을 결정한다.
결론
-. 이제 당신은 스스로 구약율법을 해석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는가?
▶ 성경 해석 / J. 스코트 듀발, J.다니엘 헤이즈 / 성서유니온 ◀
![]() |
상세보기 |
'疎通 2 (with YHWH) > Grasping His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약 - 선지서 (0) | 2009.11.04 |
---|---|
구약 - 시가서 (0) | 2009.10.31 |
구약 - 내러티브 (0) | 2009.10.22 |
신약 - 요한계시록 (0) | 2009.10.15 |
신약 - 사도행전 (0) | 2009.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