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경.삶
신약 - 요한계시록 본문
-. 계시라는 용어는 한때 감추어져 있던 어떤 것이 이제(즉 요한의 세대로부터 계속해서) 밝혀지거나 공공연하게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암시한다.
역사적 문맥
-. 눈에 보이는 것이 어떠하든 관게없이 하나님이 모든 것을 주관하고 계시며, 로마 황제가 아니라 그리스도가 역사의 주이시라는
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었다.
-. 핍박의 많은 부분이 로마 황제 도미티안의 제위(주후 81-96) 중인 1세기 말엽에 이미 일어나고 있었다.
-. 주후 1세기의 로마 황제들에게 붙여진 많은 칭호들이 그리스도인들이 예수께 부여한 칭호들과 유사하다.
-. 당시 역사적 문맥은 거짓 종교가 이방 정치 세력과 한 패를 이루고 있던 상황이었다.
-. 성경을 올바르게 해석하려면 문학적 장르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이 책이 원래 의도한 책의 종류, 즉 계시로서의 문학적 장르를 이해해야 한다.
문학적 장르
-. 요한계시록은 서신이다.
. 요한게시록은 정말로 모든 일곱 교회에 주어진 하나의 단일한 서신이다.
. 요한계시록은 지역 교회들에서 일어난 특정한 문제들이나 상황들에 대해 말하고 있다.
-. 요한계시록은 예언적인 편지다.
. 성경 예언에는 미래에 대한 예시와 현재에 대한 하나님의 진리의 선포가 담겨 있다.
. 요한계시록이 단순히 미래에 관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것을 보시길 원하신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
해야 한다.
. 요한계시록에는 구약 선지자들이 사용하던 강력한 언어와 이미지에 대한 암시들로 가득 차 있다.
-. 요한계시록은 예언적-묵시론적인 서신이다.
. 묵시문헌이 우리에게 이토록 낯설게 하는 가장 주된 특징은 묵시문헌들이 이미지들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 이 이미지들과 상징들의 목적은 무엇인가? 마로 이 질문이 우리로 하여금 요한계시록 전체의 목적을 생각하게 한다.
요한계시록의 목적은 무엇인가?
-. 요한계시록의 목적은 예언적-묵시론적 서신이란 문학적 장르와, 특별히 요한계시록이 지닌 이미지들과 연결되어 있다.
-. 이 속에서 이들은 현 세상의 마지막 결과, 즉 하나님의 궁극적 승리라는 시각에서 현재를 볼 수 있게 된다.
-. 요한계시록은 "누가 주(Lord)인가"라는 질문에 대답을 하고 있는 것이다.
-. 요한계시록의 핵심적 메시지는 "하나님이 승리하신다!"이다.
요한계시록 해석하기
-. 과거주의자들 : 요한계시록의 역사적 문맥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서 요한의 원래 독자들이 이해했을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시도
한다. 요한계시록의 많은 사건들은 1세기에 이우어진 일들로 본다.
-. 역사주의자들 : 요한계시록을 1세기부터 그리스도의 재림 때까지의 교회 역사 전반에 걸쳐 일어난 일들에 대한 하나의 지도나
개요로 본다.
-. 미래주의자들 : 요한계시록의 댜부분이 역사의 마지막을 바로 앞서는 미래 사건들과 관계된 것들로 본다.
-. 이상주의자들 : 요한계시록을 특정한 시간을 가리키는 관점에서 이해하지 않고, 그 대신 요한계시록을 선과 악 사이의 지속적
인 싸움과 연관 짓는다.
-. 요한계시록을 겸손히 읽으라 : "쉽게 읽는 요한계시록"이란 해석방식을 거부해야 한다.
-. 원래의 독자들에 대한 메시지를 발견하려고 노력하라
. 물어야 할 최초의 해석상의 질문은 "요한은 독자들에게 무엇을 전달하려고 했는가?" 이다.
. 서신서와 마찬가지로, 요한계시록의 일차적인 의미는 요한이 의미하려고 의도한 것이며, 이러한 요한의 의도는 분명 독자들
이 이해한 의도다.
. 오늘날 의미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요한 당시에 의미한 것을 먼저 이해하여야 한다.
-. 미래사건에 대한 엄격한 연대기적 지도를 발견하려고 하지 말라.
. 요한계시록은 미래 사건들에 대한 정확한 연대기적 순서를 제시하기 보다는, 독자들에게 극적인 충격이나 효과를 미치려는
예언적-묵시적 비전들로 가득 차 있다.
-. 요한계시록을 진지하게 대하되, 항산 문자적으로 다루지는 말라.
. 언제나 저자가 사용한 문학 장르와 일치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그림언어를 문자적으로 취급하는 일을 피해야 한다.
. 그림언어를 진지하게 다루되, 문자적으로 취급하지는 않는다.
. 문맥이 분명하게 상징적인 해석을 요구할 경우만 제외하고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즉 문맥이 분명하게 문자적 해석을
요구하지 않는 한 상징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뜻이다.
-. 요한이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있는 경우 특별히 유의하라.
-. 이미지들과 상징들을 해석할 때 구약과 역사적 문맥을 보라.
-. 무엇보다도, 주된 사상에 초점을 맞추고 세부사항들에 집착하지 말라.
요한계시록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
-. 서론(1:1-3:22)
-. 하나님과 어린양에 대한 비전(4:1-5:14)
-. 일곱 인의 열림(6:1-8:1)
-. 일곱 나팔의 울림(8:2-11:19)
-. 하나님의 백성 대 악의 세력들(12:1-14:20)
-. 일곱 대접의 쏟아짐(15:1-16:21)
-. 바벨론에 대한 심판(17:1-19:5)
-. 하나님의 궁극적 숭리(19:6-22:5)
-. 결론(22:6-21)
결론
-. 이 우주적 드라마의 중앙 무대는 사자-어린양 이시며, 죽음을 통해 승리를 쟁취하신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 요한계시록의 목적은 그림언어로 가이사(어떤 형태의 가이사든)가 아니라 예수가 주님이라는 사실을 보여 주는 것이다.
것을 암시한다.
역사적 문맥
-. 눈에 보이는 것이 어떠하든 관게없이 하나님이 모든 것을 주관하고 계시며, 로마 황제가 아니라 그리스도가 역사의 주이시라는
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었다.
-. 핍박의 많은 부분이 로마 황제 도미티안의 제위(주후 81-96) 중인 1세기 말엽에 이미 일어나고 있었다.
-. 주후 1세기의 로마 황제들에게 붙여진 많은 칭호들이 그리스도인들이 예수께 부여한 칭호들과 유사하다.
-. 당시 역사적 문맥은 거짓 종교가 이방 정치 세력과 한 패를 이루고 있던 상황이었다.
-. 성경을 올바르게 해석하려면 문학적 장르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이 책이 원래 의도한 책의 종류, 즉 계시로서의 문학적 장르를 이해해야 한다.
문학적 장르
-. 요한계시록은 서신이다.
. 요한게시록은 정말로 모든 일곱 교회에 주어진 하나의 단일한 서신이다.
. 요한계시록은 지역 교회들에서 일어난 특정한 문제들이나 상황들에 대해 말하고 있다.
-. 요한계시록은 예언적인 편지다.
. 성경 예언에는 미래에 대한 예시와 현재에 대한 하나님의 진리의 선포가 담겨 있다.
. 요한계시록이 단순히 미래에 관한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지금 여기에서 일어나는 것을 보시길 원하신다는 것을 반드시 기억
해야 한다.
. 요한계시록에는 구약 선지자들이 사용하던 강력한 언어와 이미지에 대한 암시들로 가득 차 있다.
-. 요한계시록은 예언적-묵시론적인 서신이다.
. 묵시문헌이 우리에게 이토록 낯설게 하는 가장 주된 특징은 묵시문헌들이 이미지들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 이 이미지들과 상징들의 목적은 무엇인가? 마로 이 질문이 우리로 하여금 요한계시록 전체의 목적을 생각하게 한다.
요한계시록의 목적은 무엇인가?
-. 요한계시록의 목적은 예언적-묵시론적 서신이란 문학적 장르와, 특별히 요한계시록이 지닌 이미지들과 연결되어 있다.
-. 이 속에서 이들은 현 세상의 마지막 결과, 즉 하나님의 궁극적 승리라는 시각에서 현재를 볼 수 있게 된다.
-. 요한계시록은 "누가 주(Lord)인가"라는 질문에 대답을 하고 있는 것이다.
-. 요한계시록의 핵심적 메시지는 "하나님이 승리하신다!"이다.
요한계시록 해석하기
-. 과거주의자들 : 요한계시록의 역사적 문맥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서 요한의 원래 독자들이 이해했을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시도
한다. 요한계시록의 많은 사건들은 1세기에 이우어진 일들로 본다.
-. 역사주의자들 : 요한계시록을 1세기부터 그리스도의 재림 때까지의 교회 역사 전반에 걸쳐 일어난 일들에 대한 하나의 지도나
개요로 본다.
-. 미래주의자들 : 요한계시록의 댜부분이 역사의 마지막을 바로 앞서는 미래 사건들과 관계된 것들로 본다.
-. 이상주의자들 : 요한계시록을 특정한 시간을 가리키는 관점에서 이해하지 않고, 그 대신 요한계시록을 선과 악 사이의 지속적
인 싸움과 연관 짓는다.
-. 요한계시록을 겸손히 읽으라 : "쉽게 읽는 요한계시록"이란 해석방식을 거부해야 한다.
-. 원래의 독자들에 대한 메시지를 발견하려고 노력하라
. 물어야 할 최초의 해석상의 질문은 "요한은 독자들에게 무엇을 전달하려고 했는가?" 이다.
. 서신서와 마찬가지로, 요한계시록의 일차적인 의미는 요한이 의미하려고 의도한 것이며, 이러한 요한의 의도는 분명 독자들
이 이해한 의도다.
. 오늘날 의미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요한 당시에 의미한 것을 먼저 이해하여야 한다.
-. 미래사건에 대한 엄격한 연대기적 지도를 발견하려고 하지 말라.
. 요한계시록은 미래 사건들에 대한 정확한 연대기적 순서를 제시하기 보다는, 독자들에게 극적인 충격이나 효과를 미치려는
예언적-묵시적 비전들로 가득 차 있다.
-. 요한계시록을 진지하게 대하되, 항산 문자적으로 다루지는 말라.
. 언제나 저자가 사용한 문학 장르와 일치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그림언어를 문자적으로 취급하는 일을 피해야 한다.
. 그림언어를 진지하게 다루되, 문자적으로 취급하지는 않는다.
. 문맥이 분명하게 상징적인 해석을 요구할 경우만 제외하고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즉 문맥이 분명하게 문자적 해석을
요구하지 않는 한 상징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뜻이다.
-. 요한이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규명하고 있는 경우 특별히 유의하라.
-. 이미지들과 상징들을 해석할 때 구약과 역사적 문맥을 보라.
-. 무엇보다도, 주된 사상에 초점을 맞추고 세부사항들에 집착하지 말라.
요한계시록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가?
-. 서론(1:1-3:22)
-. 하나님과 어린양에 대한 비전(4:1-5:14)
-. 일곱 인의 열림(6:1-8:1)
-. 일곱 나팔의 울림(8:2-11:19)
-. 하나님의 백성 대 악의 세력들(12:1-14:20)
-. 일곱 대접의 쏟아짐(15:1-16:21)
-. 바벨론에 대한 심판(17:1-19:5)
-. 하나님의 궁극적 숭리(19:6-22:5)
-. 결론(22:6-21)
결론
-. 이 우주적 드라마의 중앙 무대는 사자-어린양 이시며, 죽음을 통해 승리를 쟁취하신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 요한계시록의 목적은 그림언어로 가이사(어떤 형태의 가이사든)가 아니라 예수가 주님이라는 사실을 보여 주는 것이다.
▶ 성경 해석 / J. 스코트 듀발, J.다니엘 헤이즈 / 성서유니온 ◀
![]() |
상세보기 |
'疎通 2 (with YHWH) > Grasping His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약 - 율법 (0) | 2009.10.28 |
---|---|
구약 - 내러티브 (0) | 2009.10.22 |
신약 - 사도행전 (0) | 2009.10.14 |
신약 - 복음서 (0) | 2009.09.30 |
신약 - 서신서 (0) | 2009.09.28 |